Peter Pan in NeverLand

대게 나는 무언가를 시작할 때 일단 무작정 시작하고 보는 편인데,다짜고짜 시작한 일을 끝내고 나면 거의 대부분 비슷한 감상을 느끼게 된다."대상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대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대상을 반복적으로 만나고 경험해야 한다. 지금 내가 이해하고 싶은 대상은 아크릴 붓도색이다.아크릴 붓도색을 통해서 만든 작품이 벌써 5개나 있지만, 이 영역은 아직도 이해해야 할 부분이 많이 남아있다.특히 붓자국 없이 아크릴을 바르는 것은 처음부터 포기(?)하고 있던 스킬이나 마찬가지인데... 얼마 전 LAL사마가 알려주신 붓도색 스킬과 관련된 유튜브 영상 속에서 불현듯 스쳐 지나가는 것이 있었다. .... 어라...? 그러고 보니 예전에 링크를 걸어두었던 붓도색 관련 유튜브에서도...?? 깔끔하게 붓도색..

원래 계획대로였다면, 개인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졌던 모임에 대한 정리를 먼저 했어야 했다.하지만 오히려 너무 중요하고 의미 있었다는 부담감이 글을 쓸 타이밍을 빼앗아 버렸다. ㅋ그래서 무언가 중간을 건너뛰어버린 듯한 아쉬움과 허전함이 있지만...어쨌든 시간은 이미 흘러버렸고, 나 역시도 그동안 마냥 제자리에 있었던 것은 아니어서 ,언젠가 필요한 순간에 필요한 방식으로 퍼즐의 빈 조각을 끼워 넣을 수 있을 것이라는 막연한 희망과 기대를 품고,일단 그냥 진행. 앞서 말한 모임에서 나의 산타... 아, 아니지..;; 블로그 지인이자 귀인이신 LAL사마가 주신 선물이 있었으니,혓바닥 날름의 추억에 빛나는 시타델 워해머 페인트 + 툴 세트!! 아니, 일본에서 이미 받은 것도 많은데, 이것은 또 어인 선물이..

지난번에 하인리히를 만들 때 언급했던 것처럼 붓도색을 위해 남아있는 머시넨 크리거는 하나 더 남아있었다. 이번에 만들 녀석은 라쿤. 머시넨 크리거에 대해서는 잘 모르지만, 머시넨 크리거라는 이름을 들을 때 딱 떠오르는 형상이 바로 이 라쿤이다. 전체적으로 둥글둥글한 디자인으로 어쩐지 달걀을 연상시키는 녀석이다. 바예호 컬러의 위대함을 경험해 봤던 만큼 큰 걱정(?) 없이 붓도색 시~~~작!! ... 했는데, 어째 지난번 하고 느낌이 다르다?? 전에는 분명히 붓질 한 번에 서페이서가 감춰졌는데 이번에는 붓질 한 번으로는 어림도 없다. 혹시 지난번처럼 기본 도료가 아닌 잉크같이 다른 용도의 도료를 착각해서 바른 것인가 싶지만, 도료통에 표시된 글자를 아무리 살펴봐도 잉크라던가 투명이라던가 하는 글자는 안 보..

바다 건너에 사시는 귀인으로부터 멋진 선물을 받았다. 짜잔. '35가차-넨'이라는 시리즈로, 제목이나 런너 형상, 크기 등으로 추정해 봤을 때 뽑기로 나오는 제품인 듯? 와... 이런 게 있는 줄도 몰랐는데, 뜻하지 않게 1/35 스케일의 "진짜" 머시넨 크리거(무려 2개나!!)를 만들어볼 수 있게 되었다. 이 자리를 빌어서 다시 한번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 어떻게 만들어볼까를 머릿속으로만 트레이닝하다가 드디어 마음을 굳게(?) 먹고 작업해 보기로 한다. 도료가 잘 입혀지게 하기 위해서 기본 세척부터 시작. 1/35 크기라서 부품 사이즈도 작고, 부품수도 많은 편은 아니다. 작은 만큼 도색은 금방 할 수 있을 것 같지만... 그만큼 정밀한 작업이 필요할 것 같은 예감. 자신은 없지만... 그렇다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