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ter Pan in NeverLand

어쩐지 같은 주제의 글이 반복되는 듯한 느낌이 없잖아 있지만... 굳이 따지고 보면, 내가 그런 인간이다. 같은 문제를 반복해서 던지고 계속 고민해서 깊게 생각하는 타입.(술자리에서 한 이야기 또 하고, 또 하는 타입...;;;;) 흠흠..;; 비슷한 주제의 이전 글부터 지금까지 1년 정도 지났으니, 시간적 간격은 충분할 것 같고...ㅋ 2020.04.21 - [머릿속 탐구/낙서] - 자아성찰 #3 - 창조자의 꿈 자아성찰 #3 - 창조자의 꿈 영상물을 잘 보는 편은 아니다. 요즘은 퇴근하면서 매일 넷플릭스 드라마를 보지만, 원래 나는 드라마가 되었건, 예능프로가 되었건, 뉴스가 되었건 간에 영상물을 먼저 찾아서 보는 경우는 별 yihas.tistory.com '창조자의 꿈' 편에서 나는 손으로 무언가를..
이전 글에서도 이야기했지만, 그림을 그리는 것을 좋아했다. 보잘것없을지 몰라도 내 손끝에서 무언가를 만들어내는 즐거움이 있었다. 그림을 그리는 것은 꽤 즐거웠지만, 재능이 뛰어난 편은 아니었다고 생각한다. 재능은 똑같은 시간에 똑같은 것을 배웠을 때 그것을 얼마나 빨리, 그리고 쉽게 자기 것으로 만들 수 있느냐로 정의할 수 있을 것 같은데, 내 주변의 그림 그리는 친구들에 비해서 내가 그 재능이 월등한 편은 아니었다. 그렇다고 재능이 아주 없지는 않았던 것 같지만..^^;부족한 재능과 더불어 손도 느린 편이었다. 이것도 어쩌면 재능의 일부일지도 모르겠지만, 그림 하나를 그려내려면 나는 시간이 꽤 많이 필요했다. 펜터치 없이 스케치만 했을 뿐인데도 계속 지우개질을 하고 덧그리고 하다보면 두어시간이 지나가고..
영상물을 잘 보는 편은 아니다. 요즘은 퇴근하면서 매일 넷플릭스 드라마를 보지만, 원래 나는 드라마가 되었건, 예능프로가 되었건, 뉴스가 되었건 간에 영상물을 먼저 찾아서 보는 경우는 별로 없다. 짧은 인터넷 영상이든, 유튜브든 영상물은 나에게 1차 선택지에서 벗어나있다. 물론 회사에서 잠깐 여유를 가질 때는 예외지만.^^; 이렇게 영상물을 기피하는 이유는 영상물을 보는 경우에 화면에 시선을 고정해야하는데, 그 순간 다른 것을 하지 못하게 되는 시간이 뭔가 아깝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예능 정도는 그냥 소리만 들어도 되지 않느냐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최근 예능은 어느 하나 빠지지 않고 자막을 통한 웃음코드가 있기 때문에 그럴 바에는 아예 안 보는 편이 낫다고 생각하는 편이다. 아니, 화면을 켜는 순간 나..
중학생 시절 미술 시간에 미술 선생님 눈에 띄어 학교 대표로 사생 대회에 나가게 되었다. 잠깐 딴소리를 먼저 하자면, 나말고 사생대회를 준비하던 다른 친구들도 더 있었는데, 그 중에 미대를 가지 않은 혹은 못한 친구는 내가 유일하다. 그것과 관련해서는 이런저런 이야기들이 더 있지만... 아무튼. 당시 사생 대회에 나갈 준비를 하던 나를 꾸준히 지켜보시던 선생님은 다른 선생님에게 내가 디테일이 부족하다는 말씀을 하셨다. 그 말의 의미를 정확하게 알게 된 것은 꽤 시간이 지난 후인데, 지금와서 보자면, 선생님은 나를 꽤 정확하게 파악하신 거였다. 그림에서 디테일은 마무리 단계이다. 전체 구도를 잡고, 큰 덩어리를 정리하다 마지막에 들어가는 것이 디테일이다. 전체적인 구성과 이야기를 세운 후에 그 구성에 맞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