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ter Pan in NeverLand
들어가기 전에 수정해야할 것.지구 '연합'이 아니고 지구 '연방'이 좀 더 적절한 명칭이다.연합은 영어로 Confederation, 연방은 Federation으로단순하게 설명하자면 연합은 단순히 국가 간에 힘을 합치는 것이고, 연방은 거대한 조직 하부에 국가가 위치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듯.각국은 자치권을 가지고 있지만, 통합된 군대를 운영한다는 설정으로 보면 연합보다는 좀 더 강한 연방이 내 설정에 부합한다.뭐, 처음에는 연합으로 출발해서 연방이 되었다는 짧은 코멘트를 넣어도 충분할 수 있긴 하지만...따지고 보면 자료 조사가 제대로 안 되어서 이런 미스가 생긴 것...(자료 조사랑 공부를 더 해야한다니까...;;;)그래도 덕분에 새롭게 알게 된, 넓은 의미의, 상식도 많다. 오늘의 포커스인 금성..
지구권은, 아니 전 인류는 큰 충격에 휩싸인다.화성의 인류가 궤멸된 것은 우주적 사건으로 인한 피해인 것이 분명 하나,제대로 대응했다면 피해를 보지 않고 지나갈 수도 있는 사건이었다는 것이 인류 대다수의 공통된 의견으로 자리 잡는다.각국 집권 세력의 정치적 장악력은 급속도로 떨어졌고, 전 세계의 시민들은 이러한 사태가 또다시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한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시위와 소요를 일으킨다.인류가 우주에 진출한 지 적지 않은 시간이 흘렀지만, 우주에 사는 누군가는 지구에 사는 누군가의 친척이자 친구였기에 그들의 피해는 지구권에게도 중요한 이슈였던 것이다. 우주군을 비롯한 우주 사업에 지분을 크게 가지고 있던 강대국들의 입장이 더욱 곤란했다.일부 국가들은 화성에 있던 우주군에게 대부분의 책임을 돌리려는..
인류의 화성 진출은 차근차근 진행되고 있다.우주 사업으로 전지구적 규모로 성장한 몇몇 기업은 우주 사업에 목말라하던 국가들과 빠르게 접촉하며 화성 사업의 주도권을 가져갔기에,화성 진출은 각국 정부에게도, 기업에게도 우주 사업의 주도권 판도를 새롭게 짤 수 있는 기회의 장이자, 변화의 시작점이 된다. 하지만 운석 충돌과 관련된 대비책은 여전히 많은 부분에서 의문을 만들어내고 있는 상황이다.특히 운석의 크기를 미리 축소시키기 위한 미사일 등으로 선제적 대응을 하는 대책은 매우 실망스러운 수준이었는데,이 대응책에 필요한 투자와 실행에 대해서 각국 정부는 이런저런 핑계를 대면서 책임을 미루기만 할 뿐 적극성이 별로 없다.이 대응책은, 인류가 우주로 진출한 이상, 어느 국가의 문제가 아닌 전 인류의 문제였지만, ..
거의 행성급에 맞먹는 운석이 화성과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는 천문계의 관측은,발표 당시에는 대부분의 인류에게 그저 우주적 쇼에 지나지 않는 이벤트였다.화성과 운석의 충돌이 지구에 미치는 영향 등이 주요한 이슈였을 뿐, 화성 자체에 대한 관심도는 그리 높지 않았다.이 거대 이벤트가 진정한 의미의 거대 이벤트가 된 것은 소행성으로부터 자원을 채굴하기 위한 화성 기지 건설이 필요하다는 논의와 맞물리면서였다. 각국 정부들의 셈법은 복잡해지고 기업들의 계산 또한 쉽게 끝나지 않았다.화성으로 빠르게 진출해서 사업의 우선권을 잡고 싶기는 하지만, 거대 운석 충돌의 피해는 최소화해야 했기 때문이다.하지만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뾰족한 방법이 떠오르지 않는다.운석이 화성과 100% 충돌한다는 결론이 나온 것은 아니지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