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ter Pan in NeverLand

집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한 노원 구청에서 관심이 가는 전시회가 열린다는 소식을 들었다.걸어서 20여분 정도만 가면 되는 거리라 주말을 기해서 별이와 함께 외출. 노원 구청에서 종종 내가 관심 있어하는 분야의 행사를 열고는 했는데, 직접 방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8월 5일에 시작해서 9월 6일에 종료하는 이번 전시는 "8명의 작가가 뽐내는 프라모델 전시"라는 부제를 달고 있는 "8현전". 노원 구청 건물 오른쪽의 개방된 공간에 프라모델들이 전시되어 있다.전시 자체가 무료이고, 더위를 피해서 휴식을 취하려는 일반 시민분들을 위한 장소가 프라모델이 전시된 공간과 겹쳐있었다.이러한 공간 배치 덕분에 작품을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고 친근한 이미지로 만들어주는 듯해서 좋은 배치라는 생각이 들었다.노원구..

그간 격조하였습니다. m(_ _)m 회사 일 + 개인적인 질환 + 게으름의 연속 공격으로 홈피를 거의 방치하다시피 했다.-ㅅ-;올 해는 못해도 한 달에 한 번은 포스팅하자는 나름의 다짐은 지난 7월로 실패. ㅋ 실패한 7월의 쓰라림을 딛고 복귀한 이번 포스팅은 최근 가장 많은 포스팅을 담당하고 있는 붓도색이다.붓도색으로 도색하기 좋은 대표 제품(?)인 건담아티팩스 시리즈의 자쿠 3가 이번 목표!! 이전에 같은 건담아티팩트 페이즈 2의 풀 아머 건담 때보다 1개 더 늘어난 런너 개수.부품이 많다는 건 그만큼 도색해야 하는 부품도 많다는 의미이고... 완성까지 더 높은 난이도라는 의미이기도... ㅋ 어차피 한 부품 내에 여러 색을 칠해야 하는 경우가 왕왕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조립을 진행한 후에 도색을 해..

에어브러쉬를 이용한 도색을 한다고 하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기본적인 도료는 에나멜 도료와 더불어서 병에 들어있는 락카 도료일 것이다.병에 들어있는 락카 도료를 에어브러쉬로 뿌리기 위해서는 락카 신너를 사용해서 농도를 묽게 만들어줘야만 한다.이때 주로 사용하는 것이 뾰족병. 나 같은 경우에는 에어브러쉬 작업을 처음 시작했을 때 이 뾰족병이 왜 필요한지 몰랐다.^^;;그냥 작업할 때마다 매번 도료 접시에 도료를 덜어놓고 락카 신너를 적당히 섞어서 쓰면 되지 않나 하고 생각했다.그리고 병에 있는 도료를 한 번에 다 담았을 때 신너 비율을 어떻게 맞추면 좋을지에 대해서 감도 없었고.하지만 매번 작업을 할 때마다 적당량의 도료를 섞고, 희석 작업 후에 도구들을 청소하는 게 상당히 귀찮았다.게다가 희석한 도료의 양..

대게 나는 무언가를 시작할 때 일단 무작정 시작하고 보는 편인데,다짜고짜 시작한 일을 끝내고 나면 거의 대부분 비슷한 감상을 느끼게 된다."대상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대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대상을 반복적으로 만나고 경험해야 한다. 지금 내가 이해하고 싶은 대상은 아크릴 붓도색이다.아크릴 붓도색을 통해서 만든 작품이 벌써 5개나 있지만, 이 영역은 아직도 이해해야 할 부분이 많이 남아있다.특히 붓자국 없이 아크릴을 바르는 것은 처음부터 포기(?)하고 있던 스킬이나 마찬가지인데... 얼마 전 LAL사마가 알려주신 붓도색 스킬과 관련된 유튜브 영상 속에서 불현듯 스쳐 지나가는 것이 있었다. .... 어라...? 그러고 보니 예전에 링크를 걸어두었던 붓도색 관련 유튜브에서도...?? 깔끔하게 붓도색..